중세 시민교육에서 나타났던 두드러진 특성이 도제~마이스터 시스템에 깔린 과정이었다.
그 중간께에 있는 '직공'은 영어로 journeyman이다. 의미심장하다.
그때와 같을 순 없고 같아서도 안 되겠지만, 현재에도 곱씹을 만한 의미가 있다.
20대 중후반 젊은이들한테 특히 그렇다.
지금 세상 돌아가는 꼬락서니를 보아, 한 집단 내에서 시스템을 소화하기는 어렵단 생각이다.
그렇다면 답은 '이직'에 있는 셈이다.
나는 적어도 한가지는 합의가 이뤄졌으면 한다.
20대 중후반에 초봉을 따지는 것만큼 우스운 게 없다는 사실에 대해서 말이다.
30대 초반도 예외는 아니다.
그 나이께에 돈 많이 버는 게 가능한 것도 아니고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신해철의 장인이 완고하고 자수성가한, 그리고 꽤 나이가 많은 양반이었는데
결혼할 무렵 전세에 살던(지금도 그렇지만)
신해철을 두고 이렇게 잘라 말했단다. "그 나이에 돈 없는 게 당연하다."
당시 신해철은 30대 중반이었다.
20대 후반, 30대 초반엔 결혼문제가 걸려 있지만,
포인트는 집값을 낮추고 사회적으로 보육, 의료비용을 줄이는 데 있을 뿐,
절대 월급에 걸려 있는 게 아니다.
20대에 박봉을 받지 그럼 언제 받나? 20대에 화려하게 끗발 날리고 빨리 은퇴할 일 있나?
작은 노동시간도, 투 잡도 다 이를수록 좋다.
친구 하나가 올해 지방의 조선 회사에 취직을 했는데
매일 밤 10시에 업무가 끝난다. 주다스 프리스트 공연 때도
마음 먹고 상경하는 처지에, 금요일 밤에는 올라올 꿈도 꾸지 못하고
토요일에도 일하다가 부랴부랴 올라와서 일요일 새벽에 거주지역에 도착했다.
지방 국립대 출신인 이 친구 초봉이 3500이란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하긴 했으나,
본인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과연 평생직장으로 다닐 수 있을지 의문이다.
벌써 대기업에 입사했다가 때려치운 사람을 대체 몇이나 봤는지...
물론 이는 숙련시스템이라기보다 근무환경, 노동조건의 문제겠지만
여하간 20대 중후반에 월급 많이 받는 건 별 의미가 없다.
"돈 좀 벌다가... 대학원 가는 거? 나도 바로 그거 하려고 했지. 말처럼 안돼."
귓전에 울리는 지인의 말이다. 그는 두 군데의 대기업에서 근무하고 대학원 입학을 준비 중이다.
결국 20대 중후반, 길게는 30대 초반까지, 일에 어떻게 안착하느냐가 최대 목표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30대 중반에 맞이할 불안정이 염려되어 대학을 졸업할 시기부터
욕심을 내고 스펙에 집착하고야 마는 것이다.
서론이 너무 길었는데, 내가 제안하고픈 건
언론계와 출판계에 각각 하나씩이 있다.
일단 중앙언론사. 유무형의 나이 제한을 둬야 한다. 아님 수습직을 대거 줄이거나.
지방 언론이나 인터넷언론에서 몇년 구르다가 가는 게 정상이라고 본다.
초장부터 심한 경쟁률에 사람 집어넣어서 추첨하듯 뽑지 말고.
이건 우라사와 나오키의 <야와라!>를 읽다가 3류신문 소릴 듣는 스포츠일간지에서
좌충우돌하는 26살짜리 마츠다 기자를 보고 힌트를 얻은 것이다.
실제로도, 경향신문 모 기자의 경우 인터넷 언론 두 군데를 거친 바 있다.
경남도민일보나 새전북신문 같은 걸 살리는 길이기도 하다.
출판계에서는 96년 이후 음반시장에 '인디 레이블'이 출현했던 것처럼
인디 출판사들이 좀 나와야할 성 싶다.
출판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통 몰라서 구체적인 제안은 못하겠지만,
젊은 필자가 소량 인쇄를 염두에 두고 나서 저술 작업을 두어차례 하고 깨지고 이루고 하지 않으면,
기성 출판사에서 한 번 믿고 새 필자에게 과감히 베팅하는 일도 벌어지기 힘들다.
암튼 기껏 졸개나 양산해 내서
그 졸개들 가운데 스펙 높은 사람 겨우 뽑아놓는
사회현황에 대한 탄식 속에서 이런 생각을 해봤다.
젊어서 까짓 거 월급 88만원 받으면 뭐 어떤가?
진짜 문제는 쫌생이세상이 이러한 생각을 못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돈 안 주면 잔디라도 깔아달라고 하고,
구장이 없으면 풋살경기장이나 하다 못해 족구 코트라도 직접 일구는 풍토가 되어야 한다.
월급명세서는 별 거 아니다.
'Free Spe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전제품 (0) | 2008.10.23 |
---|---|
나에 대한 오해들에 답함 (1) | 2008.10.19 |
'우드스탁'에서 만난 찌질한 사람들 (0) | 2008.10.19 |
폼생폼사 카스트 (0) | 2008.10.12 |
그의 군입대를 앞두고 (1) | 2008.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