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

« 2024/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한국전쟁'에 해당되는 글 1

  1. 2008.02.21 재북평통
 

재북평통

史의 찬미 | 2008. 2. 21. 16:31 | Posted by 김수민

“북으로 간 조소앙·안재홍 50년대 독자적 통일운동” (한겨레)

학부생이 북한사를 다루면 얼마나 다루겠는가? 재작년 수강했던 북한현대사 수업에서 나는 처음에 '8월 전원회의 사건'으로 보고서를 쓰겠다고 했다가 교수에게 퇴짜를 맞았다. 너댓명이 같은 주제를 신청한 것이다. 7.4공동성명이나 주체사상의 형성도 마찬가지였다. 고민 끝에 한국전쟁 당시 납북된 이후 조소앙, 김규식, 안재홍이 걸은 길을 공부하기로 마음 먹었다. 그런데 이 주제조차 한명의 신청자가 더 있었다.

나는 누군지도 모르는 '경쟁자'보다 앞서 나가려 급히 도서관에를 갔으나, 내가 없는 사이 교수가 수업에서 주제에 관련해 추천했다는 이신철 박사의 박사논문은 학교 도서관에 없었다. 다만 북측 당국자였다가 탈북한 신경완의 증언을 담은 <압록강변의 겨울>이라는 책을 찾았다. 상세한 회고였다. 그러나 겨우 그 한권을 손에 넣고 보고서를 쓸 수는 없었다.

하루는 북한현대사 담당교수가 입이 삐뚤어진 채 수업에 나타났다. 그러면서도 그는 말은 바로 했는데(캬캬), 자신이 보다시피 수업이 어렵게 됐으며 오늘은 특강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소개 받아 연단에 선 이는 놀랍게도 이신철 박사였다. 그는 북한의 역사적 흐름과 시사적 현안을 명료하고도 빼어난 입담으로 소개하면서 1시간동안 밀도 높은 강연을 했다.

나는 수업 말미에 '재북평통'의 활동을 연구하려는데 참고할 만한 서적을 하나밖에 못 찾았다며, 더 볼 만한 책이 있는지 그리고 박사논문 좀 얻을 수 없겠는지 물었다. 그날이 아마 아카라카 축제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노천극장에서 터져 나오는 함성 속에서 나는 이 박사를 뒤따라가 박사논문을 건네 받았다. 그가 말했다. "졸업하고 대학원 갈 생각 있어요? 가세요. 요즘엔 시절이 좋아져서 역사 공부해도 먹고 살아요."

이 박사의 논문은 2005년에 나온 것으로, 해방정국기의 남북협상과 김일성의 민주기지론부터 시작해서 한국전쟁의 납북 그리고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의 통일운동을 다루고 있다. 김규식은 납북 도중에 숨을 거두었고 자연히 재북평통의 구심은 조소앙, 안재홍이었다. 북조선은 이들의 상징적 의미를 알고 있었기에 되도록 환대하였으며, 그들도 극렬한 저항은 하지 못했다. 그러나 양측은 의도를 달리 할 수밖에 없어 북조선은 재북평통을 통제하였으며 재북평통도 걸핏하면 항의단식을 실시하는 정도였다. 심지어 과부들을 요인들 곁에 배치하는 등 북조선 당국은 치밀한 작전을 펴기도 하는데, 이 과정이 <압록강변의 겨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재북평통은 중립화 통일방안을 제창하고, 김일성은 자신의 대남 '평화 공세'에 이를 활용하게 된다. 이것이 적화통일의 음흉한 방책이라고만 오해받는 '연방제 통일방안'의 배경이었다. 물론 전쟁이 끝난지 얼마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통일방안을 오늘날 덜떨어진 통일지상주의자들의 '코리아연방공화국'과 동일시하면 대략 난감하다.

순망치한이라고, 남쪽에 있을 땐 웬수였을 박헌영이 숙청 당하고 나자 남쪽 출신 인사들도 위기에 처한다(그럴 거면 뭐하러 데리고 갔는지, 원). 감시가 심해지자 그들은 김일성에게 직접 항의를 하게 되고, 이를 우연히 지켜본 김정일이 그들에게 호의를 베풀어 좋은 중재자가 된다는 에피소드도 <압록강변의 겨울>에 나온다. 그러나 김일성과 그들을 이간하는 당국자들의 보고는 계속되었다. 또 재북평통을 구성한 뒤 전략적 동반자로 설정된 연안파(최창익 등)마저 숙청이 되자 납북 요인들은 궁지에 몰린다.

조소앙이 자살했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풍문이 굴절된 것이다. 1958년 조선노동당 창건기념일, 학질을 앓고 있던 몸으로 과음한 그가 대동강변에서 쓰러졌다는 게 진실이다. 안 그래도 기울어지던 재북평통은 그가 죽음으로써 파국을 맞이했다. 납북 요인들은 더는 좋은 대접을 받지 못하고 심지어는 수용소 생활을 하면서 역사의 뒷편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한국전쟁 때 납북된 인사들이 만든 자리를 해방정국기에 월북한 백남운과 홍명희가 새로 채웠다.

1950년 총선에서는 조소앙이 전국 최고 득표율을 올리는 등 중간파의 대약진이 있었다. 한국전쟁 때 남북 양쪽을 피해 농사꾼으로 위장했던 근로인민당 출신 장건상은 전국 득표율 2위였다. 한민당이나 이승만이나 대중적 지지도가 취약했다. 물꼬를 중도로 돌릴 수 있던 바로 그 찰나에 전쟁이 터져 버린 것이다. 전투 소식을 듣고도 버젓이 야구장에 있었던 그 국민들은 3년 후 빨갱이라면 치를 떨거나 독재자가 무서워 입을 열지 못하는 국민으로 변신했다. 중간파와 좌파는 남한에 남아 탄압받는 경우가 아니면 북으로 넘어가거나 끌려갔다. 북조선에서는 박헌영을 죽이고 최창익을 제거하였으며, 백남운은 구석에 몰렸고 홍명희는 침묵하며 살았다.

소위 국토완정은 그렇게 이승만과 김일성의 '분단 국민국가'의 기초작업이 되었다. 아마도 재북평통은 북으로 끌려가고 남에서 내쳐짐으로써 자신의 정신이 남과 북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게 된 없었던 마지막 인간들이었으리라.

'史의 찬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left 1848~2000  (1) 2008.03.03
룩셈부르크와 베른슈타인  (0) 2008.03.01
다섯개의 손가락  (0) 2008.02.12
한국식 근대  (0) 2008.02.01
두번째 논문 기획  (0) 200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