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

« 2024/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진보신당'에 해당되는 글 1

  1. 2008.04.08 이젠 나지막하게. <임을 위한 행진곡> 1
 
이제는 나지막한 목소리로 부르자
한국현대사 OST # 4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영화 <품행제로>의 한 장면. 롤러장에서 마주친 공효진네 패거리와 임은경과 그 친구들이 한쪽은 김승진의 <스잔>을, 다른 한쪽은 박혜성의 <경아>를 신청하며 신경전을 벌인다. 당시는 쾌활하고 맹랑한 남성상에 열광하던 이들은 김승진에, 자상하고 부드러운 남자에 이끌리던 이들은 박혜성에 환호하는 분위기였다. 여성 스타의 경우 김완선과 이지연이 각자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라이벌 승부를 펼쳤었다.

  ‘운동권’에서도 각자 ‘미는’ 노래가 달랐다. 그들이 부르는 민중가요의 가사가 정치적 이념을 담기 마련이었으므로 제목에서부터 취향은 확연히 갈렸다. 반미와 통일, 민족해방을 추구한 계열은 한반도 남반부에 ‘자주적 민주정부’를 수립하자고 주장했고 김대중을 ‘비판적 지지’했는데, 그들이 불렀던 <아 민주정부>의 가사는 이렇다: “한순간을 살아도 산맥처럼 당당하게 침묵의 거리를 박차고 투쟁하는 삶이라면. (중략) 아 아 민주정부 사천만의 희망이여 죽어도 다시 살아도 세우리라 꽃피우리라.” 

  반면 자본주의 극복과 노동해방을 목적으로 삼았던 계열 가운데 일부는 독자적인 진보정당을 선택했다. 13, 14대 대선에서 백기완 선본을 구성하고 이들은 <민중권력쟁취가>를 불렀다. “독재와 독점의 땅에 빼앗기고 짓밟힌 노동형제여 (중략) 역사 위에 피어 만발한 해방의 불꽃으로 투쟁하리라 노동해방 그날을 위해 민중권력쟁취투쟁.” PD(민중민주계열)라고 불려진 이들은 진보세력의 만국공통 투쟁가였던 <인터내셔널가>도 즐겨 불렀다. 하지만 NL(민족해방계열)은 그렇지 않았다.

박기순과 윤상원의 영혼결혼식에서 울려 퍼지다

  <인터내셔널가>조차 같은 나라에 사는 양측을 묶어내지 못했지만, 그래도 한국 진보진영이 두루 공유하는 몇 가지 노래들이 있기는 하고, 지금은 진보진영이라고 부를 수 없는 이들도 심심하면 열창하는 노래도 있다. 4년 전 총선에서 탄핵역풍을 업고 당선된 열린우리당 국회의원들이 청와대에 입성하여 불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79년 노동운동을 하던 가운데 사망한 고 박기순과 그 이듬해 광주 시민군으로 죽어간 고 윤상원의 영혼결혼식에서 탄생한 노래다. 두 사람은 광주에서 야학활동을 하며 서로 알고 지냈던 사이다. 박기순이 죽던 날 윤상원은 일기를 썼다. “(···) 모닥불이 탄다./ 기순의 육신이 탄다./ 훨훨 타는 그 불꽃 속에/ 기순의 넋은 한 송이 꽃이 되어/ 우리의 가슴 속에서 피어난다.” 광주의 문화운동가인 김종률이 백기완의 시 ‘묏비나리’에서 가사를 따와 작곡한 이 노래는 <넋풀이-빛의 결혼식>이라는 음반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학생운동이나 노동운동, 진보정당의 행사에 가면 으레 ‘민중의례’라는 것을 한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먼저 간 열사들을 묵념으로써 추도한다. 민주·민족·민중운동에 있어 <임을 위한 행진곡>이 가지는 의미는, <애국가>가 일반 국민들에게 가지는 위상과 비견될 만하다. 나아가 이것은 아시아판 ‘인터내셔널가’라고도 할 수 있다. 중국이나 필리핀 등지에서도 이 노래는 알려져 있고, 꽤나 자주 입에 올려진다고 한다.

  1980년대 <님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던 사람들의 운명은 이리저리 갈라졌다. 자유주의 성향의 노무현과 일부 학생운동가들은 국민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쳐 한국사회의 ‘신주류’가 되었다. ‘백기완 선본’이 만들어낸 흐름은 진보정치추진위, 진보정치연합, 국민승리21을 경유해 민주노동당으로 이어졌고, 김대중을 밀던 민족해방계열도 민주노동당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아 민주정부>와 <민중권력쟁취가> 간의 갈등과 분열은 진보정당 내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대북정책의 주요 목적은 (연방제)통일인가 평화(체제구축)인가. 북한 인권 문제에는 침묵해야 하는가. ‘민주노총당’으로 노동자들을 대변할 수 있는가. 이 질문들을 두고 민주노동당은 분당에 이르렀다. 이른바 평등파(신문기사는 이들을 PD라고 부르지만 정확한 설명은 아니다)와 박승옥, 진중권 등 민주노동당 바깥의 진보주의자들이 모이고, 스타의원인 노회찬·심상정까지 신당창당을 결단함으로써 ‘진보신당’이 출현하게 되었다.

‘민중의례’에 대한 진보신당의 문제제기

  진보신당이 처음 태동할 무렵 한 토론회에서, ‘만화논평’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이창우는 “행사를 할 때마다 반드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불러야만 하느냐”며 문제제기를 했다. 일부 당원들도 지나치게 상시적으로 이뤄지는 ‘민중의례’를 도마로 올렸다. 마술사, 비보이, 율동패, 통기타가 어우러진 3월 16일 진보신당 창당대회는 그런 고민의 결과였다. 

   
▲ 엄숙주의에 대한 거부에 도전했던 진보신당 창당대회. 의자 마술이 약간 허술했던 모양인지 무대로 동원(?)된 언론인 홍세화와 김석준 부산대 교수는 괴로워 했다.

  만나서 반갑게 인사하다가 행사 초반 갑자기 얼굴빛이 달라지며 묵념하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풍경은 아니다. 지금의 통합민주당이나 노무현 계열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도, 그들의 정치노선이 옳든 그르든 참으로 우스운 일이다. 그만큼 그 노래는 빛바래고 변질되었다. 그러나 어찌 그런 이유로 버릴 수 있을까. "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낀다지만, 이제는 깃발을 뽑고 나지막한 목소리로 불러보자. 4.3 항쟁기념일을 무심히 지나친 이명박 대통령이, 왕년엔 운동권이었다지만, 다음달에 새삼 이 노래를 외울 것 같지는 않아서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 김수민



: